글을 쓰면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물론 지금도 유효한 바람이다. 적어도 인터넷 매체 기자라는 신분으로 글을 쓰며 먹고 살고 있으니 아직 내 인생에서 글을 버리진 않았다고 스스로 위안한다.

하지만 기사는 나의 글이 아니다. 철저한 타인의 글이다. 어느 순간부터 나의 글을 쓰고 싶다는 욕구가 생겼다. 그런 글은 문학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직 문학을 할 자신도 없고 능력도 없다.

문득 '작가'라는 존재에 대한 궁금함이 일었다. 도대체 무엇이 그들을 문학으로 이끌었고 무엇때문에 작가로 살아가는 것일까? 그 궁금증을 해소하기에 적합한 책을 도서관에서 찾았다. 한 시인이 21명의 시인과 소설가를 만나 그들의 인생과 문학관을 그려낸 책이다.

'나는 오직 글쓰고 책읽는 동안만 행복했다.' 이 책의 제목이자, 내가 좋아하는 소설가 중 한 명인 윤대녕 작가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정말 작가 다운 말이지만, 나와는 동떨어진 느낌이다. 세상에 글쓰고 책읽는 일 외에도 얼마나 재밌고 행복한 일들이 많은가?

하지만 이 말 속에는 고통이 담겨 있다. 인생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글쓰고, 책읽는 동안만 행복했을까? 스물 한명의 작가를 만나 이책을 편 원재훈 시인은 책 서두에 고통의 꽃이 문학이라고 했다.

이 책에 소개된 작가의 말에 귀 기울이다 보면, 글쓰기를 통한 창작의 과정은 그들의 삶을 살아내는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더듬으며, '나 아직 살아 있구나'라고 확인하는 방식이랄까.

처음에는 내가 알고 있는 작가들,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의 인터뷰부터 골라 읽었다. 윤대녕, 김연수, 신경숙 등등. 그러고 보니 요즘에는 내가 소설을 참 가까이 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대학시절 읽었던 김용택, 정호승, 도종환 등 시인들의 인터뷰를 읽었다. 시인의 마음가짐이 다시 되살아나는 느낌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내 글쓰기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했다. 시인의 마음가짐으로 세상을 바라보기를 좋아하지만 내 글을 소설에 가깝다. 그래서 '시인처럼 생각하고 소설가처럼 글을 쓰자'라고 정리했다.

아무튼이 책은 밑바탕도 없는 나의 문학관에 거름이 되어준 책이다.
Posted by 소셜스토리텔러

정의란 무엇인가 - 8점
마이클 샌델 지음, 이창신 옮김/김영사


책모임에서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를 함께 읽을 책으로 선정해서 이 책을 처음 알게 됐다. 내가 읽기 시작한 8월 초 쯤, 이명박 대통령의 휴가 도서 목록에 포함되어 있었다. 약간 찜찜했지만 그냥 읽기로 했다.

공리주의-자유주의-공동체 주의 등 정의에 대한 여러가지 시각들에 대해 저자의 논리를 하나 하나 따라 가며 읽은 맛이 제법이었다. 철학이라는 다소 무거운 주제였지만, 익히 알고 있는 사건들이나 상상력이 돋보이는 예시들을 통해 어렵지 않게 따라 갈 수 있었다.

저자가 자유지상주의에 빠져 있는 현실에 대해 따금한 충고를 할 때 마다, MB가 왜 이 책을 휴가때 읽겠다고 자처했는지 궁금증이 머리 속을 떠나지 않았다.

물론 MB가 이 책을 읽었는 지, 안 읽었는 지는 자신 밖에 모른다. 청와대에서는 다만 MB가 휴가 때 E-BOOK에 이 책을 담아갔다고 했다. 하지만 당시 E-BOOK용 한글 번역판은 출시되지 않아 논란이 일었다. 그렇다면 MB가 이책의 영문판을 읽었단 말인가? 아무튼 청와대는 MB가 이책을 읽었는지 확인하지는 않았다.

이 책을 다 읽어 갈 때 쯤. 청와대가 왜 이책을 대통령의 휴가 도서 목록으로 소개했는지 알게 됐다. 8.15 광복절이었다. MB는 새 현판을 단 광화문 앞에서 8.15 경축사를 읽어 나갔다. 부분적으로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이 시점에서 우리는
‘공정한 사회’ 라는 가치에 주목해야 합니다.

공정한 사회는
출발과 과정에서 공평한 기회를 주되,
결과에 대해서는 스스로 책임을 지는 사회입니다.

공정한 사회는
개인의 자유와 개성, 근면과 창의를 장려합니다.

공정한 사회에서는
패자에게 또 다른 기회가 주어집니다.

넘어진 사람은 다시 일어설 수 있고
일어선 사람은 다시 올라설 수 있습니다.
영원한 승자도, 영원한 패자도 없습니다.

(중략) 

우리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상대적 빈곤을 느끼는 이들도 많아졌습니다.
시민들이 누리는 자유와 권리는 커졌지만,
책임의식은 따라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불만과 불신이 팽배한 사회풍조도 걱정스럽습니다.
개인주의는 만연하는 데 반해
가족과 같은 전통적공동체는 약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추구하는 자유의 가치와 발전의 의미를
다시 성찰할 계기를 주고 있습니다.

....

이 부분을 보면서 무릅을 딱 쳤다. '아! MB가 아니더라도 청와대 참모들이라도 이 책을 읽었구나!'
'공정한 사회', '공평한 기회', '스스로의 책임' 등은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칸트, 롤스를 설명하면서 거듭해서 강조되는 대목이다. 여기서 머물지 않고, 마이클 샌델이 강조하는 '공동체'도 마지막에 끼워넣었으니 이 정도면 깔끔한 마무리다.

그런데 이 씁쓸한 느낌은 뭘까. "이런 사회라면 승자가 독식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는 MB의 얼굴에서 위선이 보이는 것은 왜 일까?

마이클 샌델은 이 책에서 '공동체주의'를 설명하면서 '서사적 인간'을 강조한다. '나'라는 인간이 어느날 갑자기 하늘에서 툭 떨어진 독립된 존재가 아니라 공동체 안에서 과거와 미래를 잇는 존재라고 이해한다. 거기에 비하면 MB는 서사적 존재라기 보다는 단절적 존재다. 한반도 평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모든 것을 중단시키고, 흐르는 강물을 막은 인물이니까.

MB가 이번 경축사에 써먹을 말을 찾다가 베스트셀러인 '정의란 무엇인가'를 베낀게 아닐까하는 걱정이 든다. 이런 내 생각이 기우이기를 바란다. MB가 갑자기 휴가 때 이 책을을 읽고 한순간에 깨닫고 마음을 고쳐 먹을 수도 있으니... 그렇다고 MB가 돈오돈수의 경지에 다다랐을 리는 없을텐데...

Posted by 소셜스토리텔러

이전버튼 1 2 3 이전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