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면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물론 지금도 유효한 바람이다. 적어도 인터넷 매체 기자라는 신분으로 글을 쓰며 먹고 살고 있으니 아직 내 인생에서 글을 버리진 않았다고 스스로 위안한다.

하지만 기사는 나의 글이 아니다. 철저한 타인의 글이다. 어느 순간부터 나의 글을 쓰고 싶다는 욕구가 생겼다. 그런 글은 문학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직 문학을 할 자신도 없고 능력도 없다.

문득 '작가'라는 존재에 대한 궁금함이 일었다. 도대체 무엇이 그들을 문학으로 이끌었고 무엇때문에 작가로 살아가는 것일까? 그 궁금증을 해소하기에 적합한 책을 도서관에서 찾았다. 한 시인이 21명의 시인과 소설가를 만나 그들의 인생과 문학관을 그려낸 책이다.

'나는 오직 글쓰고 책읽는 동안만 행복했다.' 이 책의 제목이자, 내가 좋아하는 소설가 중 한 명인 윤대녕 작가가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정말 작가 다운 말이지만, 나와는 동떨어진 느낌이다. 세상에 글쓰고 책읽는 일 외에도 얼마나 재밌고 행복한 일들이 많은가?

하지만 이 말 속에는 고통이 담겨 있다. 인생이 얼마나 고통스러웠으면 글쓰고, 책읽는 동안만 행복했을까? 스물 한명의 작가를 만나 이책을 편 원재훈 시인은 책 서두에 고통의 꽃이 문학이라고 했다.

이 책에 소개된 작가의 말에 귀 기울이다 보면, 글쓰기를 통한 창작의 과정은 그들의 삶을 살아내는 방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을 통해서 자신의 존재를 더듬으며, '나 아직 살아 있구나'라고 확인하는 방식이랄까.

처음에는 내가 알고 있는 작가들,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의 인터뷰부터 골라 읽었다. 윤대녕, 김연수, 신경숙 등등. 그러고 보니 요즘에는 내가 소설을 참 가까이 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대학시절 읽었던 김용택, 정호승, 도종환 등 시인들의 인터뷰를 읽었다. 시인의 마음가짐이 다시 되살아나는 느낌이었다.

이 책을 읽으며 내 글쓰기에 대해 나름대로 정리했다. 시인의 마음가짐으로 세상을 바라보기를 좋아하지만 내 글을 소설에 가깝다. 그래서 '시인처럼 생각하고 소설가처럼 글을 쓰자'라고 정리했다.

아무튼이 책은 밑바탕도 없는 나의 문학관에 거름이 되어준 책이다.
Posted by 소셜스토리텔러